본문 바로가기

CS17

1. 운영체제와 컴퓨터 🟩 운영체제와 컴퓨터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운영체제의 역할CPU 스케쥴링과 프로세스 관리 : CPU 소유권을 어떤 프로세스에 할당할지, 프로세스의 생성과 삭제, 자원 할당 빛 반환 관리메모리 관리 : 한정된 메모리를 어떤 프로세스에 얼마나 할당해야 하는지 관리디스크 파일 관리 : 디스크 파일 보관 방법 관리I/O 디바이스 관리 : I/O 디바이스가 컴퓨터와 주고받는 데이터를 관리운영체제의 구조유저 프로그램 - 운영체제 - 하드웨어GUI : 사용자가 장치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형태드라이버 :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CUI : 그래픽이 아닌 명령어로 처리하는 인터페이스시스템콜운영체제가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유저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커.. 2025. 6. 20.
5. HTTP 🟩 HTTP전송 계층 위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서 웹 서비스 통신에 사용됨HTTP/1.0한 연결 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됨서버로부터 파일을 가져올 때마다 TCP의 3-way-handshake를 계속해서 열어야 하기 때문에 RTT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음RTT란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고 나서 다시 출발지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패킷 왕복 시간RTT 증가를 해결 방법이미지 스플리팅 : 많은 이미지를 다운받게 되면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이미지가 합쳐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다운 받고, 이를 기반으로 backgroud-image의 position을 이용하여 이미지 표기코드 압축 : 코드를 압축해서 개행 문자, 빈칸을 제거하여 코드의 크기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미지 Base64 인코딩 : 이미.. 2025. 6. 20.
4. IP주소 🟩 IP 주소ARP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은 IP주소에서 ARP를 통해 MAC주소를 찾아 MAC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한다.ARP란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 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ARP를 통해 가상 주소인 IP를 실제 주소인 MAC으로 변환함. 이와 반대로 RARP를 통해 실제 주소인 MAC 주소를 가상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하기도 함홉바이홉 통신홉(hop)란 건너뛰는 모습을 의미하는데 이는 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너가는 모습을 비유한 것수많은 서브네트워크 안에 있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해나가며 라우팅을 수행하여 최종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함통신 장치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의 IP를 통해 시작 주소부터 다음 IP.. 2025. 6. 20.
3. 네트워크 기기 🟩 네트워크 기기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네트워크 기기는 계층 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음.물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와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 등이 있음.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종류애플리케이션 계층 : L7 스위치인터넷 계층 : 라우터, L3 스위치데이터 링크 계층 : L2 스위치. 브리지물리 계층 : NIC, 리피터, AP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L7 스위치스위치는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로드밸런서라고도 하며,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들을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이 처리할 수.. 2025. 6. 20.
2. TCP/IP 4계층 모델 🟩 TCP/IP 4계층 모델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이를 TCP/IP 4계층 모델로 설명하거나, OSI 7계층 모델로 설명하기도 한다.계층 구조TCP/IP 계층은 네 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으며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함이 계층들은 특정 계층들이 변경되었을 때 다른 계층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 되어 있음애플리케이션 계층FTP, HTTP, SSH, SMTP, DNS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계층FTP : 장치와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SSH : 보안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 2025. 6. 20.
1.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 기초네트워크란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노드란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함처리량과 지연 시간네트워크를 구축할 떄는 ‘좋은’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함좋은 네트워크란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를 말함처리량처리량은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함얼마 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 나타내며 ‘많은 트래픽 처리 =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라는 의미단위로는 bps(bits per seconds)를 사용하며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처리량은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네트워크 에러, 장치의 하드.. 2025. 6. 20.